뮤지컬을 하려면 성악 레슨을 받자

뮤지컬을 하려면 성악 레슨을 받자 왜 뮤지컬이 하고 싶으면 뮤지컬을 배우면 되지 왜 성악 레슨을 받으라고 하는 거지? 하고 의아해하실 수도 있습니다

​궁금하시죠? 오늘은 왜 뮤지컬을 하려고 하는 분이 성악 레슨을 받아야 하는지를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글 읽는 것이 어려우시면 아래 동영상을 봐주세요! 구독 미리 감사합니다!)

뮤지컬이 욕심 부리면?

뮤지컬은 지금 우리의 문화생활에서 영화와 함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입니다. 그러나 뮤지컬이 우리나라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한 것은 불과 몇 년 안 됐습니다

오페라가 너무 어렵고 지루하다는 편견 속에 우리나라에서 힘을 못 쓰고 쇠락할 때 뮤지컬은 구원투수처럼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작은 규모의 뮤지컬서부터 아주 큰 규모의 뮤지컬까지 매일같이 뮤지컬이 공연됩니다.

물론 지금의 코로나 상황이 시작되기 전의 일입니다 (지금 공연계는 코로나로 인해 거의 올스톱 상태입니다)

얼마 전에 “미스 사이공”이란 뮤지컬을 봤습니다. 뮤지컬의 본고장 미국에서 엄청난 돈을 들여서 작곡을 의뢰하여 만든 작품이라고 합니다

무대도 웅장하고 많은 출연진들의 열정적인 가창과 연기 등 하나 나무랄 데 없이 재미있게 즐겼습니다

전쟁으로 얼룩진 사이공을 배경으로 만든 이 뮤지컬을 보면서 제 머릿속에 계속해서 떠오르는 생각 하나는 푸치니의 “나비부인”이었습니다

미안한 말이지만 “미스 사이공”은 “나비부인”의 패러디 물 같이 보였습니다. 결국 “오페라를 따라가려고 하는구나!”라고 생각하게 만들었단 말입니다

태생적으로 뮤지컬이 자꾸 욕심을 부리면 오페라가 되는 겁니다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

​사실 뮤지컬은 오페라의 심플 버전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오페라도 처음부터 큰 규모로 만들어진 것은 아닙니다만 계속해서 발전하다 보니 지금 우리가 접하는 그랜드 한 오페라로 발전한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오페라는 무대에 올리기 위해 너무나 많은 돈이 들어가게 되고 그렇게 돈이 많이 들어가니 티켓값이 우리가 쉽게 가서 볼수 없을 정도로 비싸져서 정말로 있는 사람들의 전유물처럼 되었습니다

그런 와중에 뮤지컬은 오페라의 초기처럼 오페라의 지루한 점들 다 생략해서 좀 더 대중적으로 오페라의 레치타티보 부분은 대사로 만들고 아리아 부분은 그대로 살리고, 군무를 통해 극의 다이내믹을 극대화시켜서 즐거움을 더 했습니다

뭐든지 자꾸 발전을 하게 돼있습니다 발전이란 “욕심”으로 표현할 수도 있겠네요

욕심의 결과는 “미스 사이공”처럼 더욱 크고 화려하게 변하고 노래 또한 난이도가 높게 설정되어 갑니다

그러다 보니 가수들의 역량이 점점 더 발전해야만 합니다, 본고장인 미국에선 벌써 뮤지컬은 클래식을 전공한 사람들로 채워졌습니다 우리나라도 점점 그렇게 되어갈 것입니다

그 결과 이제는 불과 30년 전처럼 노래 대충 불러서 뮤지컬을 하기가 어렵게 되었습니다 무용도 무용과 나온 사람들이 즐비하고 전문 연극인들도 뮤지컬로 쇄도하고 누구나 뮤지컬의 세계로 문을 두드립니다

성악 전공의 친한 후배가 발 빠르게 뮤지컬계에 발을 들여놔서 지금은 뮤지컬 학과 교수로 꽤 유명해진 친구가 있는데 어느 날 술자리에서 하는 말이 뮤지컬 할 때 제일 가르치기 힘든 게 노래라고 하더군요.

무용이나 연기는 몇 달 가르치면 되는데 노래는 그렇게 할 수가 없다고 그래서 요즘은 일단 노래 잘하는 성악과 출신들을 먼저 뽑아 놓고 댄스와 연기를 가르치는 게 더 실속 있다고 합니다

사실 옛날엔 노래만 잘하면 뚱뚱하건 못생겼건 성악과는 외모에 그리 신경 쓰지 않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성악과도 달라져서 연예인 뺨치는 외모의 친구들이 많아져서 좀 더 수월하게 오디션을 할 수가 있다고 합니다

왜 성악 레슨이 필요한가?

노래는 하루아침에 실력이 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래를 가르치는 것은 무척 귀찮고 지루한 일정이죠 그러니 뮤지컬 분야에서 새로운 인재들을 영입하는데 성악과 출신을 선호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아무래도 성악과 출신들은 노래를 쉽게 배우고 노래하는데 별문제가 없어서죠

악보도 잘 보고 노래도 쉽게 배우기 때문에 노래 연기 무용 세 가지 중에 제일 시간도 오래 걸리고 가르치기 어려운 노래에 가산점이 부여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성악가가 되려면 성악과 4년을 졸업을 해도 성악가라고 부르지 않고 적어도 대학원 거기다가 유학까지 10년은 넘게 성악을 해야 성악가라고 불러주기 때문에 대학 졸업하고 뮤지컬로 전향을 하는 친구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뮤지컬의 곡들은 성악과만 졸업해도 충분히 잘 부를 수 있기 때문이죠

뮤지컬도 오페라와 같이 노래로 승부를 봐야 하는 장르입니다, 노래가 시원찮으면 뮤지컬도 관중들이 외면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래를 체계적으로 배워야 하는데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것은 성악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뮤지컬을 하려고 해도 성악을 배워야만 합니다

누구나 성악은 쉽게 배울 수가 있습니다 제가 일전에 쓴 “성악 레슨 받기 전 성악전공 가능한지 자가 진단하는 방법”을 한번 읽어보세요 뮤지컬을 전공하는 분들도 쉽게 테스트 해볼 수 있습니다

​간혹 뮤지컬이나 보컬을 가르치는 학원에서 선생님들이 뮤지컬을 성악처럼 부르면 안 된다고 이야기하는데 그건 맞는 말입니다,

성악을 배웠다고 뮤지컬을 성악처럼 부른다면 그건 그 사람이 둔한 겁니다 뮤지컬을 하면 안 되는 사람인 거죠

​투포환 선수라고 야구하면서 투포환 던지듯이 야구공을 던진다면 제정신이 아닌 사람인 거지 투포환이라는 운동이 잘못된 거는 아니잖습니까?​

성악을 배우면 보컬이나 뮤지컬의 노래를 안 배운 사람보다 훨씬 빨리 잘 부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악 레슨을 통해 성악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 시간을 허비하는 일이 절대로 아니라는 걸 얘기하는 겁니다​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 뮤지컬 학과가 개설되어있는 4년제 대학은 거의 없습니다, 성악과는 반대로 2년제 대학이 거의 없고 거의 4년제 대학입니다

​만약에 뮤지컬이나 성악으로 성공하지 못했을 때 취직을 위해 이력서를 낼 때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것과 2년제 대학을 졸업한 것에는 차이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대부분이 전공과목과는 상관없이 기왕이면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사람을 뽑으려고 합니다,

프리랜서로 혼자 일을 할 거라면 몰라도 어느 정도의 학력이 뒷받침이 되는 것이 세상 살아가는데 필요합니다

​그런 면에서 볼 때도 대학을 가야 하는 것이라면 뮤지컬 학과보다는 성악과로 진학을 해서 4년제 대학 졸업장을 갖고 있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저의 제자 중에도 대학 졸업하고 뮤지컬을 하는 제자가 여럿 있는데 전부 졸업하고 오디션을 통해 뮤지컬계에 데뷔를 했습니다

저도 왜 제자들이 졸업하고 뮤지컬계로 갔는지는 모릅니다만 자신이 재미있어하고 즐겁게 사는 것을 보면 좋은 선택이었다고 이야기 해주곤 합니다

노래는 성악이든 뮤지컬이든 보컬이든 장르만 다르지 노래하는 기본은 똑같습니다

성악은 그 기본을 가장 정확하고 체계 있게 배울 수 있는 학문이기 때문에 뮤지컬도 성악 레슨이 필요한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