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악전공 하기 전 점검해야 할 3가지

성악전공 하기 전 3가지를 점검 해보고 시작하자

성악전공 하기 전 점검해야 할 3가지

 

1. 티브이에 나오는 유행가를 쉽게 따라 부른다

 

흔히들 티브이에 나오는 유행가를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능력을 “끼”라고 부릅니다,

클래식에서는 “음악성”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쉽게 따라 부를 수 없다면 노래를 익히는 데 무척 애를 먹게 됩니다

한번 보고도 그냥 쉽게 따라부르는 사람들은 악보를 볼 줄 몰라도 어렵지 않게 따라부를 수 있습니다

몇 번 들으면 아예 외워버리기까지 합니다

이런 재능은 누군가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닙니다

얼마간 타고 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악전공을 생각한다면 이런 재주가 있나를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2. 같은 음을 10박자 이상 유지할 수 있다

 

성악가들은 시원스럽게 길고 높은 소리를 내서 청중들의 마음을 다 시원하게 해줍니다

잘하는 가수들도 높은 소리를 길게 뽑아 사람들에게 찬사를 받기도 합니다

이렇듯 한음을 길게 끄는 것은 연습을 하면 가능해지기도 하지만 연습을 안 해도 할 수가 있어야 합니다

물론 발성이 잘된 소리로 길게 끌라는 말은 아닙니다, 아직 배우기 전이니까요

그냥 생소리라도 길게 끌 수 있다면 성악을 전공해도 성공할 확률이 높습니다

보통의 사람들도 소리를 길게 끄는 것을 잘 합니다만 어떤 사람들은 소리를 길게 끌면 음정이 높아진다든지 낮아지는 분들이 있습니다

피나는 노력을 한다면 고쳐지기야 하겠지만 조금만 신경을 안 쓰면 또다시 소리가 높아지거나 낮아집니다

즉 똑같은 높이의 음을 지속을 못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같은 음을 지속해서 10박자 이상 끌지 못한다면 성악전공 하는 것을 심각하게 다시 생각하여야 합니다

이유는 말 안 해도 아실 것입니다

 

성악전공

평상시 말을 할 때 말소리가 맑다

 

평상시에 말을 좀 많이 하면 목이 쉬 피로해진다던가 목소리가 쉰소리로 바뀐다면 성대에 이상이 있나를 먼저 생각을 해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병원에 가서 완전하게 고치고 나서 성악을 시작해야 합니다

흔히들 물혹이라고 불리는 작은 혹이 성대에 생기면 목소리가 쉰다고 하는데 의학적으로는 잘 모르겠지만 노래하는 사람들 특히 성악을 하는 사람들에게
잘 나타나는 일종의 직업병이기도 합니다, 성대결절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 국악은 이런 물혹이 생기고 터져서 더 단단해져야 명창이 될 수 있다고 하는 얘기를 들었는데 성악에는 아주 치명적인 병이며 노래를 할 수조차 없어집니다, 비행기 조종사만 신체검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아닙니다

성악 하는 사람들은 몸이 악기이며 성대는 이 모든 것을 표출시켜주는 도구입니다
이런 흠이 있다면 미리 병원에 가서 겁먹지 말고 치료를 먼저하십시요.

그러고 나서 성악전공을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